페이지 | 섹션 | 서브타이틀 | 메인타이틀 | 에디터 |
---|---|---|---|---|
12 | Editor's Letter | 카르페 디엠, 카르페 디자인! | 최명환 | |
16 | Special Feature | 광야에서 우주까지 엔터테인먼트 디자인 프런티어 | 월간 〈디자인〉 편집부 | |
18 | Infographic | └엔터테인먼트의 최전선으로 향하는 실시간 내비게이션 | 최지원 | |
20 | A to Z | └놀이하는 인간, 호모 루덴스 백과사전 | 월간 〈디자인〉 편집부 | |
30 | Interview | 스투피시 엔터테인먼트 아키텍츠 CEO 레이 윙클러 | └협업으로 무대를 짓는 엔터테인먼트 건축가 | 박종우 |
36 | Interview | 시노그래퍼 여신동 | └무대 위 또 다른 보이스 메이커 | 윤솔희, 정인호 |
40 | Interview | 프로젝션 디자이너 한나 바실레스키 | └완전한 몰입으로 안내하기 | 정인호 |
46 | Interview | 콘셉트 아티스트 류현지 | └환상을 작도하는 디자이너 | 최지원 |
50 | Project | └‘몰입형 경험’이라는 장대한 놀이터 | 정인호 | |
60 | Project | 교차하고 확장하는 엔터테인먼트 세계 | └진화하는 스포테인먼트 | 최지원 |
62 | Project | 교차하고 확장하는 엔터테인먼트 세계 | └스크린을 건너온 영화와 드라마 | 최지원 |
64 | Project | 교차하고 확장하는 엔터테인먼트 세계 | └게임과 영화, 플레이와 스펙터클 사이 | 박동수, 최지원 |
68 | Project | 교차하고 확장하는 엔터테인먼트 세계 | └굿즈로 확장된 콘텐츠의 세계 | 최지원 |
72 | Project | AI로 연 환희의 넥스트 챕터, 엔터 테크 | └환상과 몽상의 세계로 인도하는 뮤직비디오 | 박종우 |
74 | Project | AI로 연 환희의 넥스트 챕터, 엔터 테크 | └완벽한 나의 ‘최애’ 버추얼 아티스트 | 박종우 |
78 | Project | AI로 연 환희의 넥스트 챕터, 엔터 테크 | └관객에게 말을 거는 AI 인터랙티브 콘텐츠 | 박종우 |
80 | Essay | └음악+게임+애니메이션+캐릭터=? | 차우진 | |
82 | Essay | └잠 못 드는 세계가 온다 | 송승원, 조윤경 | |
84 | Essay | └놀이와 대자연이 만나는 공간 | 박태원 | |
86 | 〈결국, 오프라인〉 | |||
87 | E-매거진 구독 서비스 | |||
88 | 〈K FOOD: 한식의 비밀〉 | |||
89 | 부산디자인페스티벌 | |||
90 | 멤버십 회원 모집 | |||
92 | The Designer | 광고계의 유로지비 | 돌고래유괴단 신우석 감독 | 최명환 |
101 | 제3기 프로퍼티 디자인 최고과정 | |||
102 | Design Project | 삼화페인트 Samhwa Paints | 01 iF 디자인 어워드 2025 수상작 시리즈 1 | 윤솔희, 박종우 |
104 | Design Project | 바이제이디자인그룹 by J Design Group | 01 iF 디자인 어워드 2025 수상작 시리즈 1 | 윤솔희, 박종우 |
106 | Design Project | 논스페이스 None Space | 01 iF 디자인 어워드 2025 수상작 시리즈 1 | 윤솔희, 박종우 |
108 | Design Project | 비상교육 Visang | 01 iF 디자인 어워드 2025 수상작 시리즈 1 | 윤솔희, 박종우 |
110 | Design Project | 현대와 전통을 넘나드는 절묘한 드라이빙, | 02 람보르기니 테메라리오 | 박종우 |
112 | Design Project | 메종 에르메스 도산 파크의 봄 윈도 디스플레이, | 03 숲과 대화들 | 김지아 |
113 | Design Project | 04 〈더 뉴요커〉 창간 100주년 웹사이트 | 이경희, 최지원 | |
114 | Design Project | 05 2025 프리츠커상 수상자, 류자쿤 | 정인호 | |
116 | Design Project | 행복을 디자인하는 도시, | 06 헬싱키의 리브랜딩 프로젝트 | 최지원 |
117 | Design Project | 07 미니멀리즘 디자인에 반기를 든 두 스마트폰 | 박종우 | |
118 | Design Project | 08 2025 서울리빙디자인페어 글로벌 크리에이티브 비즈니스 콘퍼런스 | 김지아 | |
123 | Design Project | 09 아이스꿀임 집기 / 10 2025 서울리빙디자인페어 트로피 | 박종우, 이경희, 최지원 | |
124 | Design Project | 11 네덜란드 헌법 제정 175년을 기념하는 포스터 전시 | 하도경, 김지아 | |
126 | Design Project | 12 사람을 위한 디자인, 밀러놀 | 정인호 | |
128 | Design Project | 13 커다란 빨간 책이 말하는 것, 〈이우학교 건축〉 | 김지아 | |
129 | Design Project | 14 에스더쉬퍼 서울 | 정인호 | |
130 | Design Project | 15 제7회 스미스소니언 디자인 트리엔날레 리뷰 | 변선민, 박종우 | |
134 | Design Project | 16 낫어호텔 세토치 / 17 현대카드 모마 디지털 월 | 정재훈, 김지아 | |
136 | Design Project | 18 알파벳 너머로 그래픽 디자인 읽기 / 19 델쿠르 컬렉션 30주년을 기념하는 ‘타임 스트레치드’ | 이재민, 최지원, 양윤정, 김지아 | |
138 | Design Project | 20 몽클레르 × FRGMT 2025 봄여름 컬렉션 | 이경희, 최지원 | |
139 | Design Project | 21 〈애플박물관을 훔치다〉전 | 박종우 | |
140 | Design Project | 22 로테르담 디자인 비엔날레 2025 | 하도경, 김지아 | |
142 | Design Project | 23 〈콘클라베〉 의상의 비밀 | 최지원 | |
144 | Design Project | 양모 생산과 디자인의 생태학적 탐구, | 24 〈올트레 테레〉전 | 하도경, 김지아 |
145 | Design Project | 경이로운 라멘 그릇의 세계, | 25 〈라멘 그릇의 예술〉전 | 정재훈, 김지아 |
146 | Design Project | 26 글라스스타 아이웨어 숍 / 27 로로피아나 100주년 기념 팝업 | 정인호, 이경희, 최지원 | |
148 | Design Project | 28 모듈식 가구로 재배치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공용 공간 | 김지아 | |
149 | Design Project | 29 새 옷 입은 미슐랭 레스토랑, 르 도예네 리뉴얼 | 양윤정, 김지아 | |
150 | Design Project | 디자인으로 시너지를 창출하는 뷰티 브랜드 서포터, | 30 비더비 | 박종우 |
153 | Design Project | 31 제이엠커피 신사 라운지 | 정인호 | |
154 | Design Project | 32 2025 이탈리아 디자인의 날 | 최지원 | |
158 | Design Project | 33 에스토니아에서 엿본 목조 모듈러 건축의 미래 | 이경희, 정인호 | |
159 | Design Project | 달라진 가판대와 구두 수선대, | 34 서울시 보도상 영업 시설물 표준 디자인 | 박종우 |
160 | Design Project | 35 2025 부아부셰 디자인 건축 워크숍 | 최지원 | |
162 | Design Project | 36 스튜디오 서정화 서정화 대표 | 김지아 | |
165 | 영 디자이너 프로모션 | |||
166 | Field News | 월간 〈디자인〉 편집부 | ||
168 | 월간 〈디자인〉을 만나는 방법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