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2 |
Editor's Letter |
|
만리장성을 기어오르는 종이 호랑이 |
최명환 |
16 |
Special Feature |
|
중국 디자인 어디까지 왔나 |
월간 〈디자인〉 편집부 |
18 |
Project |
Architecture |
마천루와 골목을 오가는 중국의 건축가들 |
김지아 |
34 |
Project |
Graphic Design |
지금 가장 젊은 그래픽 디자인의 신거점 |
스칼렛 멩 |
52 |
Project |
Industrial Design |
중국 제조업 혁신의 조력자 산업 디자인 스튜디오 |
박종우 |
80 |
Information |
한중 디자인 생태계의 교두보 |
한국디자인진흥원 중국센터 |
박종우 |
82 |
Essay |
|
중국 디자인에 대한 장황하고 복잡한 변명 |
황윤정 |
84 |
|
|
중국 이커머스의 변천사:전장의 한복판에서 진화한 서비스 |
김상훈 |
86 |
|
|
결정적 순간의 디자인(흐름을 바꾸는 찰나) |
김동욱 |
88 |
|
|
멤버십 회원 모집 |
|
90 |
|
|
마곡 리빙 디자인 페어 |
|
91 |
|
|
제4기 프로퍼티 디자인 최고과정 |
|
92 |
|
|
E-매거진 구독 서비스 |
|
93 |
|
|
제24회 서울디자인 페스티벌 |
|
94 |
The Designer |
기억을 수호하는 디자인 반란군 |
레벨나인 |
최명환 |
106 |
Design Project. 33 |
|
01 전통과 현대가 교차하는 벽, '에코' |
김지아 |
108 |
Design Project. 33 |
|
02 불안과 혼란을 품은 나무, <어쩔수가없다> 포스터 |
정수환 |
109 |
Design Project. 33 |
|
03 포르마판타스마의 생태
04 노매드 가구의 넥스트, 포스트 스튜디오 |
양윤정, 최명환 |
110 |
Design Project. 33 |
|
05 <두 번째 삶>전 |
최지원 |
111 |
Design Project. 33 |
|
06 순환과 균현을 담은 빛, 왈자의 조명 오브제 디자인 |
박종우 |
112 |
Design Project. 33 |
|
07 강호의 자연과 가까운 술을 빚는, 류 양조장 |
김지아 |
113 |
Design Project. 33 |
|
08 아카이브에서 부활한 1930년대 디자인, 쿠치나 트리엔날레 |
하도경 |
114 |
Design Project. 33 |
|
09 대체 불가능한 배달 플랫폼을 향한 재조준, '배민 2.0' 리브랜딩 |
김지아 |
118 |
Design Project. 33 |
|
10 60년 디자인 실험의 기록, <카럴 마르턴스: 언바운드>전 |
하도경 |
120 |
Design Project. 33 |
|
11 현실로 넘어온 디지털 세계의 리비도, <아가몬 대백과: 외부 유출본>전 |
박종우 |
121 |
Design Project. 33 |
|
12 상실에서 피어난 탄생, 조기석의 향수 브랜드 CGS |
김지아 |
122 |
Design Project. 33 |
|
13 차강희 서울디자인재단 대표이사 |
최지원 |
126 |
Design Project. 33 |
|
14 미디어아트 전시의 새로운 가능성, 서울라이트 DDP 2025여름 |
박종우 |
127 |
Design Project. 33 |
|
15 서울의 순간을 포착한 가구, 디어 컬렉션 |
박종우 |
128 |
Design Project. 33 |
|
16 물 위로 흐르는 공동체의 감각, Round About Baths |
최지원 |
130 |
Design Project. 33 |
|
17 루이 비통과 일본의 문화적 여정, <루이비통 비저너리 저니> |
김지아 |
132 |
Design Project. 33 |
|
18 네이버지도오하 함께 로컬처럼 여행하는 법, BE LOCAL 캠페인 |
김지아 |
136 |
Design Project. 33 |
|
19 장대한 데이터의 교향악, <2025 ACC 포커스-료지 이케다>전 |
최지원 |
138 |
Design Project. 33 |
|
20 그래픽 디자이너의 방앗간, ORGD 스토어 & 스페이스 |
최지원 |
139 |
Design Project. 33 |
|
21 언제 어디서나 보편적인 시각언어, <Pictogram: lconic Japan Designs>전 |
최지원 |
140 |
Design Project. 33 |
|
22 지역 건축가가 만드는 새로운 흐름, <건축가의 그래픽>전 |
김지아 |
142 |
Design Project. 33 |
|
23 IP의 확장 가능성을 보다, 토이콘 서울 2025 |
정수환 |
143 |
Design Project. 33 |
|
24 경주에서 열리는 이타미 준의 전시, <바람의 건축가, 이타미 준> |
김지아 |
144 |
Design Project. 33 |
|
25 예술로 되뇌는 장소의 기억, 서울시 공공 미술 프로젝트 |
최지원 |
146 |
Design Project. 33 |
|
26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4관왕 수상한 SPC삼립 |
정수환 |
150 |
Design Project. 33 |
|
27 구정아가 빚은 무중력의 세계, <오우스의 땅 [강세]> |
김지아 |
151 |
Design Project. 33 |
|
28 140년 전통의 대리석, 네우트라의 재도약 |
김지아 |
152 |
Design Project. 33 |
|
29 WDO 신임 회장, 프라디움나 비아스 Pradyumna Vyas |
최명환 |
153 |
Design Project. 33 |
|
30 스피커로 은유한 사운더 002 |
박종우 |
154 |
Design Project. 33 |
|
31 디자인으로 살린 마을, 옥은희 카리미즈안 대표 |
정수환 |
156 |
Design Project. 33 |
|
32 그래픽 신의 확장을 논하다 SHARE X INSIGHT OUT |
정수환 |
165 |
Design Project. 33 |
|
33 디자인이 말하는 도시의 매력, 2025 서울디자인국제포럼 |
정수환 |
166 |
|
|
Field News |
|
168 |
|
|
월간 〈디자인〉을 만나는 방법 |
|
169 |
|
|
44번째 전략 디자인 매니저 과정 |
|